javascript

JavaScript 시작하기 - 조건문 사용하기

환상곰 2022. 11. 8. 21:14
반응형

1. if문

 (1) if문의 기본형태

 

if(조건){
    내용 // 조건이 참일 때 실행
}

if(조건){
    내용 // 조건이 참일 때 실행
}else{
    내용 // 조건이 거짓일 때 실행
}

if(조건1){
    내용 // 조건 1이 참일때 실행
}else if(조건2){
    내용 // 조건 1이 거짓이고 조건 2가 참일 때 실행
}else{
    내용 // 조건 1과 조건 2 둘다 거짓일 때 실행
}

-- 조건을 불리언값으로 바꾸어 true이면 실행 false이면 실행하지 않거나 else if 나 else의 코드 내용이 실행된다.

 

(2) if문 예제

let a = 3;
let b = 2;
let c = a+b;

if(c === 3){
    console.log('c = 3');
}else if(c === 5){
    console.log('c = 5');
}else{
    console.log('c = unknown');
}

// c = 5 출력

 

 

2. switch문 

(1) switch문의 기본형태 

switch(조건식){
    case 비교조건식:
        내용
}

-- switch문은 조건식과 비교조건식을 비교하여 일치한다면 코드 내용을 실행한다.

 

(2) switch문 예제

let a = 3
let b = 5
let c = 8

switch(a+b){
    case c:
        console.log(`${a} + ${b} = ${c}`);
    default:
        console.log('unknown');
}

// 3 + 5 = 8 출력

-- default는 어떠한 case도 해당되지 않을 때 실행할 내용을 적어준다. case는 여러개 쓸 수 있는데 break를 이용해 일치하는 값을 찾으면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3. 조건부 연산자(삼항연산자)

조건문 ? 조건식이 참 일때 표현식 : 조건식이 거짓일때 표현식

-- 예제

let condition = true;
let value = condition ? 'condition은 참' : 'condition은 거짓';
console.log(value); // condition은 참 출력

 

-- 조건부 연산자의 중첩

let a = false;
let b = true;
let value = a ? 'a가 참' : (b ? 'b가 참' : '둘 다 거짓');
console.log(value);
// b가 참 출력

** 중첩하는게 헷갈릴때는 소괄호를 이용하여 구분하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