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JavaScript 시작하기 - 자료형

환상곰 2022. 11. 5. 17:00
반응형

1. 자료형

(1) 문자열(string)

: 자바스크립트에서 문자열은 따옴표로 감싼다. 따옴표의 종류에는 ' '(작은 따옴표), " "(큰 따옴표), ` `(백틱)이 있다.

백틱의 경우 ${ }을 통해 변수를 입력할 수 있다. 

let a = 'Kim';
let b = 'Park';
let age = 20;
let c = `${b}의 나이는 ${age}세`;

 

(2) 숫자형

: 숫자형은 정수나 실수, NaN, Infinity를 나타냄. 숫자형끼리 산술연산자를 이용하여 연산이 가능하다. 

NaN은 Not a Number의 약자로 숫자가 아님, Infinity는 무한대를 나타낸다. 

let a = 13;
let b = 12;
console.log(a+b); // 25출력

 

(3) 불린형

: 값으로는 true, false가 있으며, 비교 연산의 결과값으로 나오기도 한다. 매개변수로 전달한 값은 필요한 경우 불리언 값으로 변환되기도 하는데 이 중 빈 문자열(''), false, NaN, undefined, null, 0은 false로 형변환된다. 

let a = 5;
let b = 3;
console.log(a>b); // true 출력

 

(4) null

: null은 비어있는 값을 의미한다. 어떠한 값이 비어있음을 의미할 때 null을 사용한다.

let a = null;

 

(5) undefined

: undefined는 변수가 존재하고 있으나 값이 할당되어 있지 않아 자료형이 정해지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변수값을 할당하지 않은 변수 선언문, 함수 선언, 객체에서 할당되지 않은 프로퍼티, 리턴문이 없는 함수나 return값이 따로 없는 함수의 실행결과는 undefined를 반환한다. 

let a;
let b = {}
console.log(a); // undefined
console.log(b.c); // undefined

function foo(){} // undefined
foo(); // undefined

function foo2(){
    alert('hello');
}
foo2(); // undefined

function foo3(){
    return;
}

foo3(); // undefined

 

 

 

2. 자료형 확인하기

typeof() 연산자를 사용하여 괄호 안의 인수의 자료형을 파악할 수 있다. 

let a = 1;
let b = 'bb'
let c = true;
let d = null;
let e = undefined;
console.log(typeof(a)); // number
console.log(typeof(b)); // string
console.log(typeof(c)); // boolean
console.log(typeof(d)); // object
console.log(typeof(e)); // undefined

** 변수 d의 자료형이 object로 나오는 이유는 자바스크립트의 초기 버전 버그임.

 

반응형